꿈은 언젠가 현실이 된다 : Chateau Figeac

Written by뽀노애미

2022년 전 세계를 전율케 했던 쌩떼밀리옹 프리미에 그랑 크뤼 클라쎄 "A"(Saint-Émilion Premiers Grand Cru Classé “A”)의 주인공 샤또 피작(Château de Figeac)의 커머셜 매니저(Commercial Manager)가 내한했다. 폭우가 쏟아지는 가운데, 피작의 커머셜 매니저인 알렉사 볼튼(Alexa Boulton)이 준비한 샤또 피작의 2012~2015 빈티지를 버티컬로 시음하며, 샤또 피작의 A to Z에 대하여 낱낱이 알아보았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궁금한 것은 쌩떼밀리옹 프리미에 그랑 크뤼 클라쎄 A 디스팅션을 받게 된 과정이었다.

쌩떼밀리옹의 등급체계

보르도(Bordeaux)의 지롱드(Gironde)강을 중심으로 오른쪽 즉 우안에 위치한 쌩떼밀리옹(Saint-Émilion)은 1955년부터 보르도의 좌안의 '그랑 크뤼 클라쎄(Grand Cru Classé en 1855)'와 '크뤼 부르주아(Cru Bourgeois)'와는 다른 독자적인 등급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메독(Médoc)과 그라브(Grave) 지역을 포함한 그랑 크뤼 클라쎄 1855와는 다른 유연한 체계를 가졌다.

좌안의 등급 체계를 대표하는 그랑 크뤼 클라쎄1855(Grand Cru Classé en 1855)는 약 168년간 단 2번만의 등급 조정이 있었다. 이는 등급 제정 이후에 별다른 노력이 없어도 그를 유지할 수 있고 세습되는 '보르도의 음서제(蔭敍制)'와 같은 이미지가 되어버렸다. 이와는 상반되게 쌩떼밀리옹의 등급 체계는 1955년부터 10년에 한 번씩 다면적인 심사를 거쳐 등급을 부여하고 와이너리의 노력에 따라서 상향과 하향이 가능한 완전히 새롭고 합리적인 개념을 채용했다. 지금까지 쌩떼밀리옹 그랑 크뤼 클라쎄는 1955, 1969, 1986, 1996, 2006, 2012 그리고 지난 2022년까지 7번째의 새로운 등급을 제정했다. 오랫동안 슈발 블랑(Chateau Cheval Blanc)과 오존(Chateau Auson)만의 왕좌였던 프리미에 그랑 크뤼 클라쎄 “A”에 2012년 파비(Chateau Pavie)와 앙젤뤼스(Chateau Angelus)가 합류하였으며, 2022년 피작이 오랜 염원이었던 A등급의 영예를 안게 되었다.

쌩떼밀리옹 그랑 크뤼 클라쎄의 선정기준 (출처: https://vins-saint-emilion.com)

쌩떼밀리옹 그랑 크뤼 클라쎄와 프리미에 그랑 크뤼 클라쎄는 각각 따로 심사가 이루어지며 테이스팅이 50퍼센트, 와이너리의 명성과 떼루아 그리고 포도를 키우고 와인을 양조하는 데 사용한 방법적인 측면을 50퍼센트로 하여 다각도로 평가한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2022년 심사는 43명의 전문가가 와인마다 같은 빈티지를 12번씩 테이스팅했으며, 1,343개의 샘플 와인을 4개월 동안 평가했다.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심사는 각 등급별로 분리되어 판정되는데, 그랑 크뤼 클라쎄가 10개의 빈티지의 와인으로 평가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프리미에 그랑 크뤼 클라쎄는 2005년부터 2019년까지 15가지 와인을 테이스팅하여 좀 더 공정하고 신중한 심사가 이루어졌다.

이 외에 2022년 쌩떼밀리옹의 등급 체계에 그 전과는 다소 변동된 사항이 있다. 기존 프리미에 그랑 크뤼 클라쎄는 A와 B를 나뉘어 차등을 두었지만 2022년에는 이전과 다르게 프리미에 그랑 크뤼 클라쎄에 선정된 14개 와이너리를 통합적으로 프리미에 그랑 크뤼 클라쎄로, 그중 가장 특별한 와인 2개에만 "A"라는 디스팅션을 수여하게 된 것이다.

샤또 피작의 탄생 : History of Chateau Figeac

샤또 피작은 창립자인 띠에리 마농쿠르(Thierry Manoncourt)의 외조부모가1892년에 이 토지를 매입한 것으로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그들의 딸인 엘리자베스 마농쿠르(Elizabeth Manoncourt)에게 피작을 상속하고, 1947년에 엘리자베스는 자신의 아들에게 이 토지를 관리할 것을 제안한다. 이때 띠에리 마농쿠르는 "단 1년의 기간 동안"이라는 제한 조건으로 어머니의 제안에 동의했지만, 농경학을 전공한 그는 이 일에 바로 흥미를 느끼게 되어 본격적으로 와이너리를 경영하게 되었다. 운명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쌩떼밀리옹의 파라오(Pharaoh of Saint-Émilion)'인 띠에리 마농쿠르와 샤또 피작의 만남은 그가 2010년 오시리스(Osiris)를 만나러 먼 여행을 떠날 때까지 60개의 빈티지를 만들며 그 명성과 전설을 이루어 냈다.

가장 메독스러운 생떼밀리옹 와인? No! Figeac Style!!!

띠에리 마농쿠르가 샤또 피작을 본격적으로 맡게 되면서 가장 먼저 시작한 일은 각각의 포도 품종이 만들어 내는 와인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그는 메를로, 말벡, 까베르네 소비뇽, 까베르네 프랑을 각 품종별로 30병씩 만들어 10년을 기다렸다. 이는 샤또 피작의 떼루아에 어떤 포도 품종이 가장 적합한지와 10년 동안 숙성했을 때 각 품종별로 만들어 낸 와인의 퍼포먼스를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10년이 되던 해인 1956년 마침내 그는 최종적으로 세 가지 품종을 선택하고, 까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그리고 까베르네 프랑을 블렌딩한 명실공히 피작 스타일(Figeac Style)의 와인을 창조해 냈다.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쌩떼밀리옹 와인이 메를로가 지배적인 반면에 피작의 와인은 세 가지 품종을 거의 동일한 비율로 블렌딩한다. 때문에 샤또 피작은 가장 메독스러운 쌩떼밀리옹(The Most Médoc-like in St-Emilion) 와인으로 불린다. 하지만, 피작이 쌩떼밀리옹의 최고등급인 디스팅션 "A"를 받게 되면서 이제는 피작 스타일의 메독(The Most Figeac-like in Medoc) 와인을 기대해 본다.

쌩떼밀리옹의 멘토 '샤또 피작' : STEADY and REVOLUTIONARY

피작의 커머셜 매니저인 알렉사 버튼은 샤또 피작이 "A" 디스팅션을 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몇 가지로 이야기했다. 첫 번째로 그는 쌩떼밀리옹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떼루아를 꼽았다. 쌩떼밀리옹의 대부분 토양은 석회암과 점토(Limestone & Clay)로 대표되지만 샤또 피작의 빈야드는 이 지역에서 찾아보기 힘든 자갈(Gravel)밭에 자리 잡고 있으며, 더욱이 자갈 밑에는 블루 클레이(Blue Clay)라는 유니크한 심토(Subsoil)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이 지역에서는 이례적으로 자갈 베이스의 토양에 유리한 품종인 까베르네 소비뇽이 잘 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좀 더 이야기해 보자면, 피작의 심토인 블루 클레이는 포므롤에서 희귀하게 발견되고 있으며, 지금의 샤또 페트뤼스(Chateau Petrus)를 만든 토양이 바로 이 블루 클레이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두 번째는 샤또 피작의 끊임없는 혁신이라 할 수 있다. 2010년 띠에리 마농쿠르 사후, 샤또 피작이 매각될 것이라는 소문과는 달리 2013년에는 플라잉 와인메이커로 알려진 미쉘 롤랑(Michel Rolland)을 컨설턴트로 고용하며, 띠에리의 마농크루의 숙원이었던 프리미에 그랑 크뤼 클라쎄 "A"를 위해 박차를 가하였다. 알렉사에 의하면 미쉘 롤랑은 피작을 그의 스타일로 바꾼 것이 아니라 "피작 스타일을 유지하기 위한 블랜딩 마스터"로써 일을 하고 있으며, 2~3가지 완성된 블렌딩을 그가 제안하면 피작 팔레트를 가진 마농쿠르 가족이 최종적으로 승인하며 그 해의 샤또 피작이 탄생한다고 한다.

Madame Manoncourt Leif Carlsson

마지막으로는 후대를 생각한 자연 보전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지속적인 활동이라도 언급했다. 샤또 피작은 특이하게 아직도 소유주 일가가 샤또에 거주하고 있다. 그들의 삶터와 일터가 바로 샤또 피작인 셈이다. 그곳의 생태계와 생물의 다양성을 유지 보존하는 것은 바로 마농쿠르 가족을 보호하는 것과 직결되는 문제로, 유기농 농법과 바이오다이내믹 등에 관심을 두고 환경친화적인 빈야드 관리를 위해 매진하고 있다. 마케팅 부분에서도 마농쿠르 가족의 기여도를 간과할 수 없다. 이들은 쌩떼밀리옹 와인의 우수성을 알리고 '샤또 피작'보다는 '쌩떼밀리옹의 샤또 피작'을 앞세운 프로모션 활동으로 지역 발전에도 크게 공헌하고 있다. 이러한 점진적이고 꾸준한 모든 노력이 바로 샤또 피작을 쌩떼밀리옹 프리미에 그랑 크뤼 클라쎄 "A"로 이끌었다고 한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샤또 피작을 테이스팅해 보았다. 앞서 말한 듯이 피작 스타일은 3가지 품종을 같은 비율로 블렌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각 빈티지에 따라 조금씩 다른 조합을 보여주며 하나의 완벽한 피작을 표현했다.

Chateau Figeac 2012 샤또 피작 2012

블렌딩 비율 메를로 40%, 까베르네 소비뇽 40%, 까베르네 프랑 20%

​붉은 과실과 블랙 커런트의 향이 독보적으로 강하며 약간의 트러플과 담뱃잎, 가죽 등 매우 다양한 부케를 느낄 수 있다. 맛을 보면 잘 정제된 탄닌과 바디감이 좋은 구조를 이루며 미네랄리티와 산도의 밸런스, 잔잔하면서 긴 여운이 훌륭하다. 10년 이상 숙성된 와인이지만 아직도 과실의 풍미가 살아있으며 여전히 숙성 잠재력을 보이는 와인이다.
Points 와인 인수지애스트 94, 와인스펙테이터 93

Chateau Figeac 2013 샤또 피작 2013

블렌딩 비율 메를로 30%, 까베르네 소비뇽 50%, 까베르네 프랑 20%​

어려운 빈티지로 Winemaker's Vintage라고 불리는 2013은 와인메이커의 모든 역량을 다 쏟아부은 와인이다. 그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의 예상과는 다르게 10년이 지난 지금 다른 빈티지 와인과 큰 차이가 없이 잘 숙성 발전했다. 무화과, 블랙 커런트, 홍차 그리고 담뱃잎 향과 함께 입안에서 밀도 있고 부드러운 탄닌, 과실 풍미와 역시 미네랄리티가 매우 좋다. 산도와 함께 느껴지는 와인의 구조감은 입안에서 역시 잔잔하게 긴 여운을 준다. 까베르네 소비뇽이 다른 해와는 다르게 좀 더 많이 포함되어 구조감이 남다른 빈티지다.
Points 와인 인수지애스트 94, 와인 스펙테이터 93

Chateau Figeac 2014 샤또 피작 2014

블렌딩 비율 메를로 40%, 까베르네 소비뇽 32%, 까베르네 프랑 28%

2014 빈티지는 피작의 떼루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와인이라 할 수 있다. 아직까지도 신선함이 느껴지며 지금 마시기에도, 좀 더 숙성시켜서 마시기에도 좋은 와인이다. 블랙 커런트, 삼나무, 유칼립투스 그리고 흙과 담뱃잎 외에 세이보리한 향이 느껴진다. 입안에서 보여주는 중간 이상의 바디와 산도, 탄닌의 밸런스가 우아하며 표현력이 좋다.
Points 와인 인수지애스트 97, 제임스 서클링 96, 와인스펙테이터 94

Chateau Figeac 2015 샤또 피작 2015

블렌딩 비율 메를로 29%, 까베르네 소비뇽 43%, 까베르네 프랑 28%

​2015 빈티지는 양조 과정에서 바이오 컨트롤을 이용하며, 이산화황을 사용하지 않은 빈티지이다. 강렬한 재스민, 장미 등의 플로럴한 아로마가 다른 빈티지와는 다른 큰 차이점으로 다가온다. 포푸리, 블랙베리, 카시스, 레드 커런트, 잘 익은 자두와 함께 축축한 흙 그리고 검은 후추, 담뱃잎의 숙성향이 느껴진다. 풍부한 바디감, 벨벳 같은 질감의 탄닌, 좋은 산도는 와인에 활력을 주며 복합미와 구조감이 돋보이는 빈티지이다.
Points 인수지애스트 98, 제임스 서클링 97, 로버트 파커 97, 와인스펙테이터 97​

수입사 국순당
▶인스타그램 @ksd_wines

 뽀노애미 사진·자료 제공 국순당/샤또 피작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기사 공개일 : 2023년 07월 27일
cross